SMALL 분류 전체보기8 만들면서 배우는 클린 아키텍처 - 헥사고날 아키텍처 한달에 포스팅 1개의 목표는 아직 지켜지고 있던(7월 기준 7개) 중에, 지원한 회사에 최종 합격을 하게 되었다. 전 직장도 물론 아주 만족하며 다니고 있었지만 뭐에 홀린듯(?) 지원을 하게 되었고, 최종 합격까지 오게 되었다. 합격하기 까지의 과정과 회고는 나중에 따로 정리해볼 생각이다. 물론 이 경험과 그때의 감정을 잊기전에 최대한 빨리......! 사내에서는 헥사고날 아키텍처라는게 요즘 이슈인듯하다. 마침 팀에서 하는 프로젝트에 헥사고날 아키텍처를 적용하게되면서 따로 스터디도 진행하고 어느정도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었다. 이제 막 팀에 들어온 나로써는 얼른 적응해야지! 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고, 마침 해당 아키텍처를 적용한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어, 잠시 놓고 있었던 자기계발을 다시 시작해야겠다 .. 2023. 9. 19. Event가 동작할 것만 같지? - 잔여 이벤트 처리하기 Event가 동작할 것만 같지? - Spring Event와 Domain Event 최근 팀에서 기술공유 목적의 세미나(?)를 진행했다. 사실 간단히 내용 공유 목적이었지만, 준비하다보니 할 이야기들이 많아서 발표자료까지 만들게 되버렸다! 그때 준비하면서 고민했던 내용 ramka-devstory.tistory.com 지난 포스트에서 Domain Event를 구현한 AbstractAggregateRoot의 동작과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Domain Event를 발행하는 것 역시 Spring Event를 사용하고 있었고, 여전히 부자연스러운 save 로직을 사용하여 이벤트를 발행하는 문제점이 해소되지 않았다. 이번엔 이를 해소하고자 시도했던 것들을 다뤄보고자 한다. 부자연스러운 행위를 없애자 팀원들과의 코드.. 2023. 5. 1. Event가 동작할 것만 같지? - Spring Event와 Domain Event 최근 팀에서 기술공유 목적의 세미나(?)를 진행했다. 사실 간단히 내용 공유 목적이었지만, 준비하다보니 할 이야기들이 많아서 발표자료까지 만들게 되버렸다! 그때 준비하면서 고민했던 내용과 실제로 적용한 내용을 회고 해보려 한다. 문제 상황 우리는 Spring에서 제공하는 ApplicationEventPublisher와 Spring Data 에서 제공해주는 Domain Event를 사용하고 있다. 서비스간의 의존성을 줄이기 위해서 사용하기 위해서 꽤나 많은 로직에서 사용중인 모습을 볼 수 있었는데, 여기서 문제가 되었던 건, AbstractAggregateRoot의 registerEvent() 였다. 현재 업무로 운영/유지보수를 하고 있는 나로써는 계속해서 이와 같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이슈들을 분석해보.. 2023. 5. 1. Dead Code 분석도구 - Scavenger (Feat. DEVIEW 2023) [DEVIEW 2023] 첫 개발 컨퍼런스 Naver에서는 DEVIEW라는 컨퍼런스 행사를 매년 진행한다고 한다. 코로나가 시들시들해져가고, 오랜만에 오프라인 컨퍼런스를 개최한다고 하는데, 한번도 이런 개발 컨퍼런스는 가본적이 없었고 마 ramka-devstory.tistory.com GitHub - naver/scavenger: a runtime dead code analysis tool a runtime dead code analysis tool. Contribute to naver/scavenger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지난달 다녀온 DEVIEW에서 Dead Code 분석도구, Scavenger를 팀 내에서 관리중인 여.. 2023. 3. 27. 이전 1 2 다음 LIST